“자동매매 전략이요? 그냥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거 아닌가요?”
맞기도 하고, 부족하기도 한 말입니다.
자동매매의 핵심은 “어떤 기준으로 사고, 어떤 조건에서 파는가”에 있어요.
이 기준을 전략(Strategy) 이라고 부르고, 그 종류는 생각보다 다양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
자동매매 전략을 분류하는 기준과 대표 전략 예시들을
쉽고 재미있게 소개해드릴게요.
🧠 전략은 이렇게 나뉩니다
자동매매 전략은 보통 다음 3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어요.
✅ 1. 방향성 유무에 따라 – 추세 vs 역추세
▶ 추세 추종 전략 (Trend Following)
“오르는 건 더 오른다, 떨어지는 건 더 떨어진다”
- 상승장이 계속되면 따라 들어가고
- 하락장이 계속되면 같이 빠져나오는 전략
- 대표 지표: 이동평균선(MA), MACD
📌 예시:
20일 이동평균선이 60일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
▶ 역추세 전략 (Mean Reversion)
“급등하면 다시 내려오고, 급락하면 다시 오른다”
- 시장이 과하게 움직였다고 판단되면 반대 방향으로 베팅
- 대표 지표: RSI, Bollinger Band, %B
📌 예시:
RSI가 30 이하일 때 매수, 70 이상일 때 매도
✅ 2. 시간대에 따라 – 초단기 vs 중장기
▶ 초단타 전략 (High Frequency / Scalping)
- 몇 초, 몇 분 단위로 빠르게 사고파는 전략
- 소량의 수익을 여러 번 반복해 수익 확보
- 속도와 수수료가 관건
📌 예시:
매수벽·매도벽이 클 경우 스프레드 차이로 수익 실현
▶ 스윙 / 포지션 전략
- 하루~수일 혹은 더 긴 기간을 기준으로
- 뉴스, 지표, 이벤트 등을 반영한 전략
📌 예시:
FOMC 발표 후 금리 방향 예측에 따라 포지션 진입
✅ 3. 거래 방식에 따라 – 조건형 vs 유동성형
▶ 조건부 전략 (Rule-Based)
- 정해진 조건이 충족될 때만 매매
- 자동화에 적합하며, 백테스트 용이
📌 예시:
특정 가격 이하 매수 + 거래량 증가 확인 시 진입
▶ 유동성 기반 전략 (Market Making)
- 호가창 양방향에 동시에 주문을 내고 스프레드를 먹는 방식
- 거래가 잦고 수수료 우대가 있을 때 유리
📌 예시:
매수 999원 / 매도 1001원 동시 걸기 → 체결 시 수익
💡 전략은 섞어서도 쓸 수 있습니다
- 추세 + 조건부 전략
- 스캘핑 + RSI 기반 진입
- 뉴스 기반 이벤트 전략 + 포지션 청산 규칙 등
자동매매의 강점은
복잡한 전략도 빠짐없이 정확히 실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
사람은 피곤하고 감정에 흔들리지만,
자동매매는 하루에도 수백 번 같은 전략을 반복할 수 있어요.
🎯 전략보다 더 중요한 것
전략 자체보다 더 중요한 건 “검증”입니다.
- 과거 데이터로 전략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백테스트
- 실전에서 수익/손실을 관리하는 리스크 관리 기능
이 두 가지가 잘 작동할 때,
비로소 자동매매는 “수익을 내는 도구”가 됩니다.
🧠 내 전략을 자동으로 실행해보세요 – OpenSourceTrader
감정 없이, 빠르게, 정확하게 매매를 반복하는 자동매매 시스템.
오픈소스 기반 OpenSourceTrader로 나만의 전략을 실전에서 돌려보세요.
전략 검증부터 실시간 거래까지, 시작이 어렵다면 제가 도와드립니다.
👉 🐚 알고리즘 트레이딩의 미래, Jini OpenSourceTrader를 소개합니다
다음 편에서는
“자동매매에도 위험이 있나요?”
실전에서 생길 수 있는 실수와 그 대비 방법을 알려드릴게요!
궁금한 점이나 의견은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😊